최근 상온 초전도체의 검증을 둘러싸고 과학계가 뜨거운 논쟁을 벌인 데 이어 이번에는 '맥신'이라는 소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획기적인 성능으로 2차 전지의 전극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쓰임새가 큰 신소재인데, 다만 상용화까지는 넘어야 할 산도 큽니다. <br /> <br />이동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른바 '꿈의 신소재'로 불리는 '맥신' <br /> <br />머리카락 10만분의 1인 1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물질이지만, 최근 이차전지의 새로운 전극 소재로 떠오르면서 과학계는 물론 일반인들의 이목도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맥신은 금속층과 탄소층을 번갈아 쌓아 만든 나노물질입니다. <br /> <br />다른 물질과 혼합하거나 금속 등에 코팅해 사용해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맥신은 2011년 처음 합성된 신소재로 천연 금속과 탄소, 알루미늄으로 이뤄진 '맥스'라는 합성물을 기반으로 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다양한 원소나 분자를 레고처럼 더해 다양한 특성의 맥신을 만들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맥신의 가장 큰 특징은 전기 전도도가 높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기존 전극 소재인 그래핀보다 10배 정도 전도도가 높아 이차전지의 전극으로 활용하면 용량은 늘리고 충전 시간은 줄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전자파를 차단하는 능력이 뛰어나 자율 주행차의 부품에 쓰거나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맥신은 구성물의 조합에 따라 도체나 반도체, 자성 소재에 이르기까지 자유자재로 특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선준 / KIST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 : 저희가 원자 구조나 원소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특정 산업 또는 특정 응용분야가 아닌 굉장히 광범위한 분야에 대해서 활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맥신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안정성 확보와 생산 비용 등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현재 맥신의 연구가 활발이 이뤄지는 것은 맞지만, 적어도 5년에서 10년 정도는 지나야 유의미한 형태의 상용화 제품이 나올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YTN사이언스 이동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은 (d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82702345473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